• 맑음동두천 24.7℃
  • 맑음강릉 25.8℃
  • 맑음서울 26.4℃
  • 구름조금대전 24.9℃
  • 구름많음대구 26.0℃
  • 구름많음울산 25.9℃
  • 구름많음광주 26.4℃
  • 구름많음부산 27.2℃
  • 구름많음고창 24.4℃
  • 흐림제주 29.1℃
  • 맑음강화 23.5℃
  • 구름조금보은 23.5℃
  • 구름많음금산 23.4℃
  • 구름많음강진군 25.4℃
  • 구름많음경주시 26.0℃
  • 구름많음거제 24.1℃
기상청 제공

경제

국회 입법정책 대한 여론 지지도, 국회-정당-정부개혁에서 가장 크게 하락

 

[ 메디채널 관리자 기자 ] 2024년 22대 국회의원 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왔다. 현재 국민들은 어떤 정책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지할까? 스트래티지앤리서치(SNR)가 2021년과 올해에 한국리서치에 의뢰해서 실시한 정책 여론조사의 결과를 분석했다.

2020년 21대 국회에 진출한 7개 정당이 공약한 10대 정책은 총 70건이다. SNR은 이 정책들의 핵심 내용을 분석해 8대 정책 분야와 29개 유형을 나눴다.

8대 정책 분야는 부동산, 산업경제, 사회안전, 보건복지, 공공개혁, 외교국방, 노동, 교육 분야다.

◇ 부동산 - 2030 청년층과 4050 저소득층의 소외

국민들은 29개 정책유형들 중에 '부동산-주거 안정'에 대해 가장 큰 관심과 지지를 보였다.

올해 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책으로 '부동산 주거 안정'을 선택했다. 2021년과 비교하면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가장 높은 관심도 수준이다.

정책에 대한 지지도는 평균 4.2%p 상승해 약 70% 수준으로 높아졌다. 이는 4050 고소득층과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두드러진다(각각 +15.3%p → 68%, +20.5%p → 78.1%).

그러나 다른 정책유형과 비교해 볼 때, 지지도의 수치 자체는 낮은 수준이다. 특히 올해에 2030 여성층, 2030 남성층, 4050 저소득층의 지지도는 반대로 하락했다(각각 -7.3%p → 61.1%, -10.0%p → 60.8%, -4.7%p → 68.1%).

지지와 반대 이유(복수 응답)들을 비교해보면, 지지 입장에서는 '국민의 삶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74.8%), '우리나라가 지향해야 하는 가치와 원칙에 맞아서'(34.2%) 등의 응답 비중이 높고, 반대 입장에서는 이와 상반되는 의견과 함께, '현실적으로 실행이 불가능할 것 같아서'(34.2%), '이행하고자 하는 과제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아서'(30.4%), '입법을 담당하는 국회를 믿을 수 없어서'(30.3%), '세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21.2%) 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다른 정책유형들에 대한 지지 및 반대 이유에 대한 응답들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부동산-주택 공급 확대'에 대한 평균 관심도와 지지도는 '부동산 주거 안정'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으나, 관심도와 지지도의 두 요인을 종합해 분석한 중요도의 수치에서 전체 정책유형들 중에 6위를 차지했다.

◇ 산업경제 - 중도층, 진보층, 2030 여성층의 정책 지지도 하락

산업경제 관련 정책유형들 중에는 '경제활성화'(5위)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올해에도 국민들은 '경제활성화'에 대해 '부동산-주거 안정'과 같은 수준으로 가장 큰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지지도는 2030 남성층과 60대 이상 연령층을 제외한 전 계층에서 크게 하락하며 평균 지지도가 하락했다(평균 -3.6%p → 58.9%).

'경제활성화'에 대한 지지도의 수준과 증감 폭이 계층 간 차이를 크게 나타냈다. 이념 성향 계층별로 보면 보수층에서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중도층과 진보층에서 더 크게 하락했다(각각 +9.8%p → 75.1%, -10.1%p → 56%, -17.1%p → 41%).

올해에는 응답자가 종사하는 산업 부문별로도 '경제활성화'에 대한 지지도를 조사했다. 지지도는 1-2차-인프라 산업, IT-장비-소재 제조업, 유통-숙박음식 서비스업, 지식-문화-금융 서비스업 등 전 부문에서 54%에서 62%의 수준을 나타냈다. 재직 기관별로 조사해 본 지지도는 대기업-중견기업(65.5%)과 자영업(62.8%)에서 높고, 비정부(NGO) 기관 및 단체(50.8%), 중소기업(50.1%)에서 낮으며 공공기관-공기업(44.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국민들의 높은 관심도(2위)에 비해 지지도는 매우 낮은 수준(26위)이다.

'청년 지원'(9위)은 산업경제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정책유형이다.

정책에 대한 관심도는 2030 여성층에서 가장 크게 상승하고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가장 크게 하락했다(각각 +12.9%p → 73.9%, -9.2%p → 25.5%).

반대로 지지도는 2030 여성층에서 가장 크게 하락하고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가장 크게 상승했다. 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주요 관심 대상인 계층에서는 하락하고 다른 계층에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 것이다(각각 -9.6%p → 71.8%, +17.2%p → 81.1%).

2021년과 올해 조사 결과를 비교해 보면, 산업경제 분야에서 중요도의 수치가 상승한 정책유형은 '문화예술 강화', '청년지원', '농산어촌 지원'이다(각각 +5.9 %p → 24위, +1.6 %p → 9위, +1.3 %p → 23위). 하락한 정책유형은 '벤처 지원', '소상공인-자영업 지원', '혁신주도 성장', '경제활성화', '그린뉴딜(환경-에너지)'이다(각각 -2.5 %p → 28위, -2.3 %p → 19위, -1.8 %p하락 29위, -1.4 %p → 5위, -0.7 %p → 11위).

◇ 사회안전 - 디지털 성범죄 대응 정책에 대한 2030 여성층의 지지도 급감

사회안전 분야의 정책유형은 '사회 안전-치안'(2위)과 '디지털 성범죄 대응 안전'(7위)이다.

'사회 안전-치안'에 대한 4050 중소득층의 관심은 전체 평균 관심도의 상승을 이끌었다(각각 +11.1%p → 58.4%, +3.3%p → 55.9%).

지지도를 보면, 60대 이상 연령층과 2030 남성층에서 크게 상승해 전체 평균이 높아졌다(각각 +17%p → 87.1%, +10.9%p → 67.9%, +6.4%p → 79.9%).

그러나 '사회 안전-치안'에 대해 가장 큰 관심을 가지는 계층인 2030 여성층의 지지도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8.3%p → 75.2%).

'디지털 성범죄 대응 안전'에 대해 2030 여성층의 지지도는 더욱 뚜렷하게 하락했다(-16%p → 74.6%). 이러한 하락은 4050 저소득층과 4050 중소득층에서도 크게 나타났다(각각 -10.3%p → 81%, -8.2%p → 86.4%).

◇ 보건복지 - 출산-육아 복지 지원 정책의 중요도 상승

보건복지 분야에서는 정책 중요도 순위의 변화가 두드러진다. '보건-복지-인권 보장'과 '출산-육아 복지 지원'의 중요도가 각각 6위에서 3위로, 9위에서 4위로 상승하고, '감염병 대응 안전'은 2위에서 13위로 급락했다.

우선 '보건-복지-인권 보장'과 '출산-육아 복지 지원'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와 지지도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이는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두드러진다.

'출산-육아 복지 지원'에 대한 2030 남성층의 관심도와 지지도가 큰 폭으로 상승한 점도 눈에 뜨인다(각각 +14.9%p → 59.0%, +5.8%p → 73.6%). 올해에 조사된 2030 여성층의 관심도와 지지도에 가까운 수준이다(±0.0%p → 61.5%, -3.7%p → 71.2%).

반면 '감염병 대응 안전'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하락했다(-28.7%p → 32.2%). 지지도는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크게 상승했지만, 4050 저소득층에서 큰 폭으로 하락했다(각각 +19.3%p → 86.5%, -18.9%p → 70.8%). 다른 계층에서도 지지도가 다소 낮아졌다.

◇ 공공개혁 - 정부개혁과 국회-정당 개혁에 대한 지지도가 가장 크게 하락

국민들은 공공개혁 관련 정책유형들 중에는 '국회-정당 개혁'(8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올해 '국회-정당 개혁'에 대한 관심도가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큰 폭으로 상승했다(+9.3%p → 58.2%).

그러나 지지도는 2021년 89.2%(1위)에서 올해 75%(12위)로 급락했다. 이는 전 계층에서 마찬가지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중도층에서의 지지도 하락이 가장 컸으며, 진보층과 보수층에서의 하락 폭도 컸다(각각 -17.8%p → 70.1%, -16.2%p → 80.9%, -9.6%p → 75.3%).

정책 지지도의 하락은 '정부개혁'에서 더욱 컸다. 2021년 76%(6위)에서 올해 55.2%(29위)로 급락했다. 진보층, 중도층, 보수층 모두에서 하락했다(각각 -31.8%p → 52.5%, -24.9%p → 52.7%, -2.5%p → 62.4%).

'정부개혁'과 '국회-정당 개혁'에 대한 지지도의 하락 폭은 전체 29개 정책유형들 중에 가장 컸다.

올해 국민들이 가장 지지하는 정책유형은 공공개혁 분야의 '해외 은닉재산 환수'이며, 특히 4050 중소득층과 고소득층,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95%를 넘는 압도적인 지지도를 보였다.

2021년과 올해 조사 결과를 비교해 보면, 공공개혁 분야에서 중요도가 상승한 정책유형은 '사법개혁', '해외 은닉재산 환수'이다(각각 +5.2 %p → 14위, +2.1 %p → 10위). 하락한 정책유형은 '정부개혁', '국회-정당 개혁', '언론 공익-공공성 강화'다(각각 -8.2 %p → 17위, -6.5 %p → 8위, -1.5 %p → 12위).

◇ 외교국방 - 60대 이상 연령층, 4050 고소득층, 2030 남성층과 타 계층 간 지지도 차이 확대

외교국방 분야 관련 정책유형들은 '안보외교'(18위), '평화-국익 외교'(25위), '국방개혁'(26위)이다.

2021년과 올해 국민들의 관심도는 전반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지지도는 '안보외교'와 '평화-국익 외교'에 대한 60대 이상 연령층, 4050 고소득층, 2030 남성층의 평가에서 10%~30%의 큰 폭으로 상승했다. '국방개혁'에 대해서는 2030 남성층과 60대 이상 연령층이 높은 지지도를 나타냈다(각각 +17.1%p → 74.2%, +10.3%p → 65.4%).

반면 외교국방 관련 정책들은 계층 간 큰 차이를 나타냈다. 올해 조사에서 '안보외교'와 '국방개혁'에 대해 2030 여성층, 4050 저소득층, 4050 중소득층은 30%~60% 정도의 낮은 지지도를 보였다. '평화-국익 외교'에 대해서는 2030 여성층과 4050 중소득층의 지지도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각각 -11.6%p → 41.2%, -5.6%p → 60.3%).

정책 지지 이유로는 '우리나라가 지향해야 하는 가치와 원칙에 맞아서'의 응답이 60~70% 내외의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반대 이유로는 '현실적으로 실행이 불가능할 것 같아서'와 '세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의 응답이 각 50% 내외로 나타났다.

2021년 대비 올해에 이 정책유형들의 중요도 수치는 전반적으로 3~7%p 내외 상승했다.

◇ 노동 - 60대 이상 연령층과 타 계층 간 입장 차이 확대

노동 분야의 정책유형은 '노사 불법행위 근절'(15위)과 '노동권 보장'(16위)이다.

'노사 불법행위 근절'에 대해 60대 이상 연령층의 관심도와 지지도가 모두 큰 폭으로 상승했다(각각 +16.4%p → 46.7%, +13p% 상승 87.9%). 반면 다른 대부분 계층의 관심도와 지지도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4050 고소득층의 지지도는 더 큰 폭으로 하락했다(-24.3%p → 65.9%).

노동권 보장에 대한 관심도는 4050 저소득층과 60대 이상 연령층을 제외한 전 계층에서 8%~20%p 상승했다. 그러나 계층별 지지도는 60대 이상 연령층을 제외한 전 계층에서 -3%p에서 -13%p씩 하락했다. 60대 이상 연령층의 지지도만 다소 상승한 점이 두드러진다(+4.1%p → 73.2%).

'노사 불법행위 근절'의 정책 중요도 순위는 19위에서 15위로 상승했으며, '노동권 보장'은 15위에서 16위로 1계단 낮아졌다.

◇ 교육 - 교육 공정성 강화 정책에 대한 전 계층의 지지도 하락

교육 분야의 정책유형들은 '국가 책임 평등교육'(20위), '지방 국립대학교육 지원'(21위), '교육 공정성 강화'(22위), '사립교육 공공성 강화'(27위)다.

2021년과 비교해 올해 국민들의 관심도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국가 책임 평등교육'과 '지방 국립대학교육 지원'에 대한 보수층의 지지도는 상승했다(각각 +16.7%p → 70.1%, +9.6%p → 84.2%).

반면 '교육 공정성 강화'에 대한 지지도는 2030 남성층과 60대 이상 연령층을 제외한 전 계층에서 -7%p에서 -14%p 하락했다. 이념 성향별로도 진보층, 중도층, 보수층 모두에서 하락했다(각각 -13.2%p → 49.9%, -0.7%p → 51.4%, -6.7%p → 67.4%).

교육 분야에서 중요도가 상승한 정책유형은 '지방 국립대학교육 지원'(+5.9 %p), '국가 책임 평등교육'(+4.5 %p), '사립교육 공공성 강화'(+2.0%p)이며, 하락한 정책유형은 '교육 공정성 강화'(-2.0 %p)이다.